912조원 굴리는 우리나라 투자자의 포트폴리오
워렌버핏의 재산이 110조 정도 된다고 하네요.

우리나라 최고의 투자자는 누구일까요?
여러 유튜버(혹은 책의 저자분들)가 생각나시겠지만... (저는 한참 멀었습니다 하하)
실상 가장 큰 규모의 자금을 운용하는 곳은 '국민연금'입니다. 약 910조원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워렌버핏의 재산이 110조원 정도입니다.
국민연금은 2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 국민들의 노후가 달려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투자해야 합니다.
- 국민들의 노후가 달려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2가지 이유로, 안전지향인 우리가 참고하기에 좋습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 구성
2022년 5월 기준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 -
크게 보자면 주식 43%, 채권 42%, 대체투자 14.5%를 보유합니다. (여기서 대체투자는 대부분 달러입니다.)
디테일하게 보자면 이렇습니다.
- 국내주식 16.7%
- 해외주식 26.7%
- 국내채권 34.8%
- 해외채권 7.1%
- 단기자금 0.2%
- 기타 0.2%
+ 최근 국민연금은 국내주식 비중을 줄이고, 해외주식을 늘리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건 자금의 규모가 커질수록 어쩔 수 없습니다.
수익률 비교
최근 국민연금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은 -4.73%를 기록했습니다.
분명 "국민들의 노후자금을 날려먹었다"라고 폄하할 수 있으나, 실상은 엄청나게 선방한 겁니다.
같은 기간, 개인투자자들과 비교해도 그렇고,
동학개미, 5월 수익률 '-10.2%'…외인 '4.7%' 기관 '6.7%'
금융권과 비교해도 그렇습니다.
뭐랑 비교해볼까 하다가, ISA계좌를 증권사(은행)에 포트폴리오를 만들어달라고 맡길 수 있습니다. 이것과 비교해봤습니다.
130개 포트폴리오 중 단 16곳만이 국민연금을 이겼습니다. (여기에 돈을 맡기면 추후 연금을 받을 때의 세금과 수수료 때문에 대부분 국민연금보다 못한 결과가 나옵니다. 셀프로 하는게 낫습니다.)
때문에 국민연금 포트폴리오는 잘 굴리는 포트폴리오이며, 참고하는게 의미가 있습니다.
ISA 일임형 포트폴리오 수익률 비교표
(ISA계좌 은행, 증권사에 맡겼을 때 수익률 : 저위험, 초저위험은 제외)
| 업권 | 회사명 | MP 유형 | 기간수익률 |
|---|---|---|---|
| 은행 | 우리은행 | 중위험 | -1.49% |
| 증권 | 키움증권 | 중위험 | -2.29% |
| 증권 | 대신증권 | 중위험 | -2.41% |
| 은행 | 신한은행 | 고위험 | -2.85% |
| 은행 | 우리은행 | 중위험 | -2.86% |
| 은행 | 신한은행 | 중위험 | -2.87% |
| 은행 | 신한은행 | 중위험 | -3.32% |
| 증권 | 한국투자증권 | 고위험 | -3.84% |
| 증권 | 에스케이증권 | 중위험 | -3.86% |
| 증권 | 에스케이증권 | 중위험 | -3.97% |
| 은행 | 신한은행 | 초고위험 | -4.14% |
| 은행 | 국민은행 | 중위험 | -4.18% |
| 은행 | 국민은행 | 중위험 | -4.28% |
| 은행 | 국민은행 | 중위험 | -4.33% |
| 은행 | 기업은행 | 중위험 | -4.76% |
국민연금 수익률: -4.73%
위 표에서 보듯이, 130개 포트폴리오 중 16개만이 국민연금보다 좋은 성과를 냈으며, 대부분의 전문 기관들이 국민연금보다 못한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결론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는:
- 주식과 채권의 균형잡힌 배분
- 국내와 해외 자산의 적절한 분산
- 대규모 자금 운용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과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개인 투자자들이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는 포트폴리오라고 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