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하이 칼럼#포트폴리오#안정성#물가상승#적금탈출#자산배분#리스크관리

포트폴리오 투자, 대체 왜 하라고 해요?

1,000만 원 이상 목돈 굴릴 때 보세요.

머니하이
머니하이
머니하이
2024년 10월 16일

23년도에만 417명의 수강생을 만났습니다. 80%는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를 하도록 도왔습니다. 그 핵심이 포트폴리오 투자입니다. 늘 이야기하는 적금 탈출 3단계입니다.

요즘 블로그 글이던, 유튜브 영상이던 챗GPT로 복사 붙여넣기 식으로 만듭니다. 그런 컨텐츠 잘못보고 투자했다가 진짜 낭패봅니다.

차근차근히 설명하겠습니다. 포트폴리오 투자? 이 글만 보셔도 됩니다.

포트폴리오 투자를 왜 해야 하는가?

솔직히 말해서 이 부분이 제일 중요합니다. 정~~~말 중요한데, 공감 안하실 것 같습니다. 자전거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자전거를 그냥 남들이 타니까, 나도 타야지 → 배워놓고 안타게 됨 (시간 낭비)
  •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 해야지! → 배워 놓고 100% 활용함

투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남들이 다 하니까 한다면 결국 써먹질 않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포트폴리오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안정성
  2. 물가상승 방어 목적
  3. 적금 탈출 4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깨달음

1. 안정성이 핵심입니다

포트폴리오 투자는 안정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회초년생이 있습니다. 미국 주식인 나스닥100에 1980년도부터 20여년간 투자했습니다. 미국은 망하지 않는다는 불패의식이 있었습니다.

2000년에 40대 후반이 되었습니다. 2001년 닷컴버블이 터집니다. -80% 곤두박질 칩니다. A는 어쩔 수 없이 다른 직장을 알아봅니다.

(*닷컴버블 고점에 투자했다면 원금을 찾는 건 15년 뒤였습니다.)

반대로, B는 포트폴리오 투자자입니다. 닷컴버블을 무난히 넘길 수 있었습니다. 원하는 시점에 은퇴를 하고, 열심히 일한 보상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닷컴버블 시기 미국 주식 vs 영구 포트폴리오 비교

붉은 선: 미국 주식 / 파란 선: 영구 포트폴리오

2. 물가상승 방어가 필수입니다

물가상승 방어를 위해서도 포트폴리오 투자가 좋습니다.

적금만 한다면, 예금자보호 때문에 돈을 잃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상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돈을 늘 잃고 있습니다.

아래 통계를 낸 그래프를 보겠습니다. 빨간선은 예적금(단기 채권)이고, 파란선은 포트폴리오입니다. 이 그래프는 물가상승률(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수치입니다.

쉽게 말해서, 내가 투자로 100만원을 벌고, 물가상승도 100만원이 되었으면 0으로 계산하는 겁니다.

물가상승률 반영한 예적금 vs 포트폴리오 수익률 비교

2007년~2017년까지 10년동안 돈이 거의 불어나지 않았습니다. (빨간선) 참고로, 이 시기는 금융위기와 무역 갈등과 같은 시기들이 있었습니다.

반대로 파란선은 07~08년도 금융위기를 제외하곤 꾸준히 돈이 불어납니다.

장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을 방어하기 위해선 무조건 포트폴리오 투자를 해야 합니다.

3. 투자 안목을 기를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투자를 하면 깨닫는 것도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는 구성할 때 주식 같은 고위험 자산에만 넣지 않습니다. 채권, 금, 원자재, 부동산 같은 자산에도 투자합니다.

이렇게 다양하게 투자하면 어떤 뉴스가 나왔을 때, 자산들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이스라엘 - 하마스가 전쟁을 하면 유가(원자재)가 움직이는구나! 하고 말입니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유가 변동 차트

이런 경험을 하게 되면 주식에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에스오일 같은 주식들은 오르는구나. 하고 말입니다.

유튜브를 보고 따라서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스스로 투자처를 발굴하게 됩니다.

리스크가 적은 투자부터 단계별로 시작한 사람과 무작정 투자에 뛰어든 사람 중 누가 더 잘할까요? 답은 이미 아실 겁니다.